꿈 많은 Dreamer

회사의 언어는 회계! 회계란 무엇인가? 본문

투자/회계

회사의 언어는 회계! 회계란 무엇인가?

앤젠시 2021. 1. 3. 22:00

회사를 운영하는 사람에게 회계란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를 이해하고 주식/부동산 등 재테크를 잘하기 위해,

회사의 전략 기획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월급을 제때 받을 수 있을지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인 회계 지식은 필수인 만큼 회계의 흐름을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회계란?

정보의 제공자인 '회사'가

정보의 이용자인 '(잠재적)투자자/은행/채권자/경영자/종업원'에게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정보입니다.

 

재무제표란?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을 통칭합니다.

밑에서 1월 1일자 및 12월 31일자 재무상태표를 알아보겠습니다.

 

부기란?

정보를 매일 장부에 기록하는 거예요.

단식부기는 일정한 원리원칙이 없고 비영리기업이 사용하여 비영리회계!

복식부기는 일정한 원리원칙에 따라 작성되며 영리기업이 사용하여 영리회계!

우리는 일반적으로 복식부기/영리회계를 배우게 되지요.

 

자산 / 부채 / 자본

기업은 개인/법인기업으로 나뉘는데 둘의 차이점은 자본금 관련 내용입니다.

자본금이 무엇인지 자산 및 부채와 함께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만약 제가 학원을 차리려고 할 때의 예상자금은 2억원이라고 가정해보죠.

제 돈(자본)이 1억5천만원이 있을 경우 대출(부채)을 5천만원 받으면,

저의 총 재산(자산)은 2억원이 됩니다. 즉, 자산에는 내 돈+남의 돈 모두 포함되죠.

가장 중요한 자본을 기준으로 만든 자본등식 자본 = 자산 - 부채.

외형적인 자산 기준으로 만든 재무상태표등식 자산 = 부채 + 자본.

결국 이름만 다를 뿐 같은 등식이랍니다~

 

차변 / 대변

차변은 왼쪽, 대변은 오른쪽에 작성하니 차좌대우로 암기!

재무상태표상 차변에는 자산을, 대변에는 부채 자본을 작성합니다.

 

계정과목이란?

아래와 같이 회계상에서만 사용되는 여러 용어들을 계정과목이라고 부릅니다.

위 예에서 대출받은 5천만원은 차입금, 제 돈 1억5천만원은 자본금이라고 칭합니다.

 

학원 건물을 빌릴 때 건물주에게 지불해야 되는 보증금 5천만원은 임차보증금인데요,

건물을 구했으면 인테리어를 해야겠죠? 인테리어비 5천만원은 시설장치입니다.

이제 컴퓨터나 책상 등 사용할 집기비품을 2천만원어치 구해보겠습니다.

교재 등 학생들에게 판매할 상품들도 많아야겠죠? 1천만원어치 구매합니다.

나머지 7천만원은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예비비인 보통예금으로 남겨놓겠습니다.

 

그럼 차변 대변의 합계 각각 2억원으로 마감되는데, 마감시에는 밑에 두 줄을 작성!

이렇게 차변과 대변의 값이 같으면 대차평균의 원리라고 하며 이는 복식부기의 특징입니다.

1/1  기초재무상태표
자산 금액 부채 · 자본 금액
임차보증금
시설장치
비품
상품
보통예금


50,000,000
50,000,000
20,000,000
10,000,000
70,000,000
차입금
자본금





50,000,000
150,000,000



200,000,000 200,000,000

위 재무상태표는 연초 1월 1일 기준인데요~

1년이 지난 12월 31일에 제 재산의 변화를 살펴볼게요!

학원을 차릴 당시에 재산은 2억이었는데 1년이 지나니 2억9천만원이 되었습니다!

 

임차보증금은 변동이 없습니다. 왜냐구요?

1년도 안됐는데 집주인이 보증금 올려달라고 하면 안되잖아요!

시설장치도 변동이 없습니다. 1년도 안됐는데 인테리어할게 없겠죠?

비품은 에어컨/히터 등을 구매하여 3천만원으로 늘어났습니다.

3천만원어치 셔틀차량도 구입했으니 차량운반구도 작성해봅니다.

교재도 더 많이 사놓았기 때문에 상품은 2천만원으로 늘어납니다.

수강생들이 많아져 제 보통예금도 1억원으로 늘어나고 현금도 생겼어요~

 

그럼 대출받은 돈도 조금 갚았겠죠? 차입금은 3천만원으로 줄었습니다.

카드할부 등 아직 지불하지 않은 금액을 일컫는 미지급금도 생겼습니다.

외상거래에 따른 빚인 외상매입금도 생겼는데요~

미지급금은 상품이 아닐 때, 외상매입금 상품일 때 외상인 차이가 있습니다.

자본금은 자산 2억9천만원 - 부채 (3천+2천+5백)으로 2억3500만원이죠.

 

1/1에는 기초자본이 1억5천이었는데 12/31에는 기말자본이 2억3500이 되면서

올해 8500만원이 늘어났기 때문에 괄호 안에 당기순이익을 표기해야 됩니다!

당기순이익 자본금 안에 있는 금액이며,

자본은 순재산, 자산은 총재산이라 하고 재산으로 이익을 계산했다고 하여

당기순이익 = 기말자본 - 기초자본 등식을 재산법 등식이라고 합니다.

만약 기말자본 < 기초자본이면 당기순손실이겠죠?

12/31  기말재무상태표
자산 금액 부채 · 자본 금액
임차보증금
시설장치
비품
차량운반구
상품
보통예금
현금




50,000,000
50,000,000
30,000,000
30,000,000
20,000,000
100,000,000
10,000,000


차입금
미지급금
외상매입금
자본금
(당기순이익






30,000,000
20,000,000
5,000,000
235,000,000
85,000,000)




290,000,000 290,000,000

이상 회계의 기본 개념이었습니다!

참고하셔서 회알못에서 탈출해보세요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