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닌 홍콩의 미국계 국제학교는 매년 3월쯤에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Interim이라는, 한 주간 다양한 국가로 수학여행을 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물론 원하는 나라로 모두가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5군데의 여행지를 각 학생이 고르면 학교에서 랜덤으로 한 군데를 지정해주는 것이었지만 유럽은 물론 피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오스, 요르단 같은 특별한 곳들이 수학여행 장소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었다. 나는 스페인, 피지, 프랑스, 뉴질랜드, 호주에 지원하였으나 지원 당시 나는 솔직히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유럽에 당첨되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대망의 결과 발표 날, 많은 학생들이 어디로 가게 될지 초조해하며 기대하고 있었다. 나는 피지섬에 가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나 원하던 유럽이 아닌데다 피지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바가 없었기 때문에 약간 실망하였다. 하지만 내 친구들은 내가 정말 부럽다며 여행 장소를 나와 바꿨으면 좋겠다고 부러운 눈길을 아끼지 않았다.
3월에 있었던 일주일간의 Fiji 여행은 내 생애 최고의 여행이었고 나를 뒤바꿔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호주 옆에 있는 피지섬. 홍콩에서부터 15시간정도를 비행기 타고 갈아타고 하면서 소비했지만, 도착해서 지내보니 paradise가 따로 없었다. 정말 피지인들이 사는 방식은 우리 모두가 본받아야 된다고 생각했고, 밤이면 볼 수 있던 수백 개의 별들을 포함한 경치, 음식, 사람들, 무엇 하나 좋지 않은 게 없었다. 처음에는 내가 고른 다섯 군데의 여행지 중 학교 측에서 랜덤으로 생소한 나라인 피지를 골라준 것에 대한 불만이 있었지만, 정말 여기에 구체적으로 몇 자 끄적거리기에는 너무나도 많은, 그리고 말로 형용할 수도 없을 양질의 추억을 만들어준 내 interim buddies, 선생님들, 학교, 모든 Fiji인들과 내 host family한테 감사할 따름이다. 앞으로 살아가면서 또 이렇게 최고의 시간을 보낼 여행이 있을까 궁금하다.
미국계 학교에서의 새로운 학년이 되자 공부도 어려워지고 숙제도 훨씬 많아져서 숙제하는데 시간도 더 오래 걸렸다. 매일 리서치, 리포트, 프레젠테이션, 창의력을 사용해서 만드는 프로젝트 등의 어려운 숙제가 대다수인 데다가 시험이 일주일에 2-4개씩 있어서 나를 포함한 대다수의 학생들이 과제를 하느라 밤을 새우는 일도 많았다. 아주 작고 사소한 숙제라도 성적에 반영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학교에서처럼 중간/기말고사만 잘 본다고 만회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또한 개개인이 필기/악기/합창 등 수업과목을 고를 수 있었던 음악수업 시간 때도 과제/실기준비 등이 매우 빡빡했으며, 체육시간에 하는 운동들도 정말 다양해지고 강도도 높아졌다. 수영시간에는 2m 가까이 되는 물 속에 긴청바지와 잠바 같은 두꺼운 긴팔옷을 입고 들어가서 수영장 5바퀴를 돌고 난 후 발도 닿지 않는 물 깊이에서 10분 넘는 시간 동안 살아남는 서바이벌 스킬로 성적이 좌우되기도 하였고, 도는 데 40분 넘게 걸리는 학교 주변의 산과 물을 한 바퀴 뛰며 돌아온 순서대로 시간을 측정하여 성적을 매기는 등 체육시간도 공부 못지않게 빡빡하였다.